안녕하십니까. 이장근 장학재단의 캄보디아 장학재단일을 도와서 진행하고 있는 홍정현이라고 합니다. 작년의 의료 봉사활동을 시작으로 이제 본격적으로 재단의 의료봉사활동도 점점 안정화 되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5년간의 인턴 레지던트를 마치고, 전문의가 되어 군의관을 하기 직전 잠시의 짬을 내어 캄보디아 의료봉사활동에 다녀오게 되었고, 이를 맡아 할 수 있어 행복한 일정이었습니다. 또한, 한국에서는 다음 멤버들과 함께 하였습니다. 정보금 선생님 (캄보디아 3번째 방문) 이동헌 선생님 (캄보디아 2번째 방문) 윤원배 선생님 (정신과 전문의, 캄보디아 첫 번째 방문) 추가로 한국의 의사 선생님도 바쁘지만 짬을 내어 갈 수 있어 뜻깊은 경험이었다 생각이 듭니다. 이장근 장학재단이 캄보디아에 의료봉사활동을 시작한지 두 번째 되는 해이며 재단으로 방문한 캄보디아는 총 7번째 방문입니다. 이번 재단의 캄보디아 의료봉사활동과 관련하여 이태성 이사장님을 대신하여 이 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이번 캄보디아 방문의 목적은 다음과 같았습니다. (1) 작년 캄보디아에 약속했던 두 번째 의료 봉사활동 실행 (2일간 진료) (2) 캄보디아 학생들의 만남 (3) 한국 팀의 뜻깊은 경험 및 봉사 (4) 미래의 병원과 학교 설립을 위한 업무 진행 (현지 변호사 및 예수병원관계자와의 만남) 장학재단이 초기에는 방문하여 장학금을 수여하는 것이 주된 일이었다면, 이제 성장하여 자란 의사들과 레지던트, 장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의료봉사활동을 진행할 수 있는 것이 무엇보다 큰 행복이고 지난 세월간의 조그마한 결실이라 생각합니다. 한국에서 의료봉사팀이 가서 봉사를 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지만, 민들레처럼 뿌린 씨앗들이 자라나 조금씩 맺는 것 같아서 무엇보다 뿌듯하고 보람있었습니다. 작년에는 봉사활동의 시작으로 하루의 진료를 보았지만, 이번에는 1박 2일간 시골마을 깜뽕짱 (재단을 조력해주시는 선교사님이 계신 지역)에 머물면서 진료를 보았습니다. 그만큼 더 많은 환자들을 진료할 수 있었고, 또한 학생들과 더 많은 시간을 보낼 수 있었습니다. 이번 재단 봉사활동의 참여자들은 다음과 같았습니다. 재단의 취지와 뜻이 좋고, 학생들이 봉사활동을 하며 정말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니 장학재단 이외의 다른 학생들도 함께 참여하여 봉사활동을 함께 진행하고 있습니다. <총 인원 : 21명> <한국 4명> 홍정현, 이동헌, 정보금, 윤원배 <장학재단 출신 로컬 의사> doem sovanna <장학재단 레지던트 및 장학재단 친구> mam kanha - 혈액종양내과 레지던트 2년차 kim tieng - 성형외과 레지던트 2년차 pisai - 소아과 레지던트 1년차 Phearoth - 혈액종양내과 레지던트 2년차 mao - 산부인과 레지던트 2년차 <학생> chomroeurn youen huor ear somath hoeun lek loe merkong <간호학생> 깜뽕짬 선교사님 교회 간호학생 2명 <이외> sophal - mao 남편, 공대 교수 선교사님 부부 내외 UHS 1학년 학생
 
 
 
 
이후 예수병원 관계자 선생님과 미팅을 하였습니다. 순환기 내과를 전공하신 분이며 한국 전주병원에서 일을 하고 잠시 파견을 나오신 분입니다. 또한, 헤브론 병원에서 레지던트라는 개념을 최초로 만들어 캄보디아의 의료에 많은 기여를 하신 분입니다.
캄보디아에 새로 병원을 시작하며 궁금했던 부분들에 대한 질문도 드렸으며 저희 재단의 취지와 생각에 대한 이야기를 들으시고는 재단 학생들을 캄보디아 프놈펜에 계신동안 한번씩 만나 학생들을 올바른 길로 이끌어 주시는데 도움을 주시기로 했습니다. 제가 한국에만 있기 때문에 이곳에 이런 지원군 베태랑 의사 선생님을 만나 든든했습니다. 정말 뜻깊은 시간이었습니다. 이후 병원 소개도 해주셨습니다. 일전에 IU 대학교를 지원할 때 방문을 한 적이 있는데 이곳을 리모델링하여 일부 예수병원에서 사용을 하고 있습니다.
  
|